검색
한국어
  •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Deutsch
  • Español
  • Français
  • Magyar
  • 日本語
  • 한국어
  • Монгол хэл
  • Âu Lạc
  • български
  • Bahasa Melayu
  • فارسی
  • Português
  • Română
  • Bahasa Indonesia
  • ไทย
  • العربية
  • Čeština
  • ਪੰਜਾਬੀ
  • Русский
  • తెలుగు లిపి
  • हिन्दी
  • Polski
  • Italiano
  • Wikang Tagalog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 기타
  •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Deutsch
  • Español
  • Français
  • Magyar
  • 日本語
  • 한국어
  • Монгол хэл
  • Âu Lạc
  • български
  • Bahasa Melayu
  • فارسی
  • Português
  • Română
  • Bahasa Indonesia
  • ไทย
  • العربية
  • Čeština
  • ਪੰਜਾਬੀ
  • Русский
  • తెలుగు లిపి
  • हिन्दी
  • Polski
  • Italiano
  • Wikang Tagalog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 기타
제목
내용
다음 동영상
 

거룩한 공자의 논어: 3권, 5권, 2부 중 1부

내용 요약
다운로드 Docx
더보기

오늘은 공자의 논어‍ 3편과 5편을‍ 소개하여 기쁩니다. 공자의 제자들이‍ 편집한 책을 제임스 레게가‍ 번역했으며 공자의 가르침과‍ 철학을 담았습니다. 소박함이 사치보다 낫고, 군자는 자신의 행동과‍ 인품을 통해 이를‍ 보여준다고 설명합니다.

3편. 팔일.

3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예가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음악은 또 무슨 쓸모가 있겠는가?」』‍

4장

『임방이 예의 본질에 관해 물으니‍ 공자께서 대답하셨다. 「참으로 중요한‍ 질문이로다! 예는 사치스럽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며‍ 상을 치름에는 차림보다는 슬픔이 있어야 하느니라」』‍

7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경쟁하지 않지만 활쏘기만은 반드시 겨룬다. 서로 절하고 사양하면서 활 쏘는 자리에 오르고, 내려와서는 패자에게‍ 마실 것을 주나니‍ 그 경쟁하는 모습이‍ 과연 군자다우니라」』

9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하나라의 예를‍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예인 기나라에‍ 증명할 사물이 부족하고, 은나라의 예를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그 후예인 송나라도‍ 증명할 것이 부족한 것은 다 문헌과 현자들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충분하다면 내가 능히 증명해 보일 수 있으리라」』‍

13장‍

『왕손가가 묻기를‍ 「『안방 귀신에게 비느니‍ 부뚜막 귀신에게‍ 빈다』는 말이 무슨 말입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렇지 않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빌 곳이 없느니라」』

19장‍

『정공이 묻기를‍ 「임금이 신하를 쓰고‍ 신하가 임금을 섬기는 데는 어찌해야‍ 합니까?」‍ 공자께서 답하셨다. 「임금은 신하를 쓰는데 예로써 하고,‍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써 섬기면 된다」』‍

26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못하고, 예를 행하면서 공경하는 마음이 없으며, 상을 당하고 슬퍼하지 않는다면‍ 내가 무엇 때문에 그런 사람을 보겠는가?」』‍

더보기
모든 에피소드 (1/2)
1
지혜의 말씀
2025-08-22
496 조회수
2
지혜의 말씀
2025-08-23
487 조회수
공유
공유하기
퍼가기
시작 시간
다운로드
모바일
모바일
아이폰
안드로이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GO
GO
Prompt
OK
QR코드를 스캔하세요 ,
또는 다운로드할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선택하세요
아이폰
안드로이드